- |
심리
불쌍하고 미운 형제
성숙한 사람은 자기 안에 좋고 나쁨이 모두 존재할 뿐만 아니라 타인 안에도 좋고 나쁨 모두가 존재함을 압니다.
사람이 좋고 나쁨을 통합하지 못하면 좋고 나쁨을 분열시킵니다. 자기 안에 좋음만 있어야 되는 사람은 좋은 사람이 되려고 자기 안의 나쁜 부분을 타인에게 투사해 타인을 나쁜 사람으로 만듭니다. 반면 타인에게 나쁜 부분이 있음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은 자신이 나빠서 타인이 잘해주지 않는 거라 생각하며 자신을 나쁨만 존재하는 나쁜 사람으로 만듭니다.
못사는 여동생이 미운 오빠
50대 후반의 수철 씨는 못사는 막내 여동생이 밉습니다. 막내 여동생은 충분히 좋은 조건의 남자를 만나서 경제적으로 잘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막내 여동생이 못사는 남자, 못사는 시댁에 시집을 가서 지금까지도 경제적으로 어렵고, 형제들 중에서도 가장 가난합니다. 수철 씨는 그런 막내 여동생이 미워 여동생이 결혼한 이후 아무런 경제적 도움을 주지 않았습니다. 그렇다고 막내 여동생이 수철 씨에게 자신의 가난을 하소연하거나 경제적인 도움을 요청한 것도 아닙니다. 그런데도 수철 씨는 못사는 막내 여동생이 싫습니다. 수철 씨의 막내 여동생은 못산다고 자기를 비난하는 오빠가 밉습니다. 오빠에게 경제적으로 힘들다고 넋두리를 하지도 않았고, 도움 또한 받지 않았는데 왜 오빠가 자기를 비난하고 미워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막내 여동생은 형제들을 만나면 못사는 자신이 부끄럽고 주눅이 들었지만 애써 내색을 하지 않았습니다.
좋고 나쁨의 분열과 통합

사람이 심리적으로 건강하려면 자기와 타인 안에 있는 좋고(good) 나쁜(bad) 부분을 통합해야 합니다. 대상관계 이론가들은 유아가 자라면서 자기를 돌보는 중요한 대상과 어떻게 심리적 관계를 맺으면서 성장하는지, 그리고 그 관계가 유아가 성인이 된 후 자기와 타인과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했습니다. 유아는 성장하면서 자기 안에 그리고 타인에게 좋고 나쁨이 모두 있음을 알게 되면서 자신과 타인 안에 있는 좋고 나쁨을 통합하며 성숙해간다고 말합니다. 유아가 자신과 타인 안에 있는 좋고 나쁨을 통합하지 못하면 좋고 나쁨을 분열(splitting)시킨다고 합니다. 유아가 자기 안의 나쁨을 수용하지 못하면 그 나쁨을 타인에게 투사(projection)해서 자기 안에는 좋은 부분만 있고 자기 안의 나쁜 부분은 타인의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이런 유아는 성인이 되면 자기애적(narcissistic) 경향의 사람이 된다고 합니다. 자기애적 경향의 사람들은 자기의 잘못이나 부족함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자기의 잘못은 모두 다른 사람이 저지른 실수나 잘못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타인을 비난합니다. 자기 안의 나쁜 부분을 인정하거나 수용할 수 있는 내적인 힘이 약한 것이지요. 반대로 유아가 자기를 돌보는 중요한 대상에게 나쁜 부분이 있다는 것을 수용하지 못하면 중요한 대상은 좋은 부분만 있는 좋은 사람인데 자기가 나빠서 자기를 돌보는 중요한 대상이 자기에게 잘해주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자기 안에 좋음은 없고 나쁨만 있는 나쁜 사람이라고 자신을 생각한다고 합니다. 이런 유아는 성인이 되면 경계선적(borderline) 경향의 사람이 됩니다. 자신과 타인 안에 있는 좋고 나쁨을 통합해야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성숙한 사람이 된다는 것이지요.
좋은 사람이고만 싶은 나

수철 씨가 막내 여동생이 미운 이유는 수철 씨의 내면이 좋고 나쁨으로 분열돼 있기 때문입니다. 어려운 여동생을 도와주는 좋은 오빠와 여동생을 못 도와주는 나쁜 오빠로 말입니다. 수철 씨는 자기가 좋은 오빠이기도 하고 나쁜 오빠이기도 함을 수용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수철 씨는 못사는 여동생을 보면 돌봐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낍니다. 그런데 수철 씨는 자기 식구의 가장 역할을 하는 것도 만만치 않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직장이라도 든든하고 월급이라도 넉넉하면 괜찮을 텐데 그렇지 않습니다. 자녀들이 자라면서 점점 더 많은 돈이 필요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나이가 들어가면서 노후도 준비해야 했습니다. 수철 씨는 자신과 자기 가족을 위한 경제적 책임감만으로도 벅찬데 못사는 여동생도 나 몰라라 할 수 없는 마음이 있습니다. 때때로 막내 여동생이 얼마나 어려울까 생각하면 마음이 아프고 불쌍한 생각이 들어 도와주고 싶습니다. 여력만 있으면 도움을 주고 싶은데 그럴 수 없어서 여동생에게 미안하고, 자기와 자기 가족을 먼저 챙기느라 도와주지 못하는 자기를 나쁜 오빠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수철 씨는 자신이 생각하는 이러한 나쁜 오빠라는 부분을 막내 여동생에게 투사해 막내 여동생이 나쁘다고 비난하는 것입니다. 자기가 나쁜 오빠인 게 아니라 막내 여동생이 잘못된 선택을 하는 바람에 경제적으로 어렵게 살아서 자기를 나쁜 오빠로 만들었기에 여동생이 나쁜 것입니다. 막내 여동생이 잘살면 여동생을 도와주지 않아도 돼 수철 씨는 자신이 계속 좋은 오빠로 살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지요. 수철 씨는 여동생과의 관계에서 항상 좋은 오빠이고만 싶은 것입니다.
좋은 사람이 아니라 성숙한 사람
우리에게는 좋고 나쁨이 모두 존재합니다. 모두 나쁘거나 모두 좋거나 하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한국 문화는 끈끈한 가족애를 중요시하고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사람이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다 보니 형제 관계에서 많은 어려움이 생깁니다. 살다 보면 여러 어려움에 봉착하거나 여력이 안 돼서, 혹은 형제보다 자기 가족을 더 위하는 마음 때문에 어려운 형제들을 도와주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그것이 경제적 어려움이든 정서적 어려움이든 말입니다. 이때 우리는 자신 안의 이런 부족하고 약하고 나쁜 부분들을 자신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부족함과 나쁜 부분들을 드러나게 하는 형제를 비난하는 대신 자신 안의 좋고 나쁨 모두를 상대 형제에게 말하는 것이 더 필요합니다. 수철 씨는 막내 여동생에게 자기 안의 좋은 부분, 즉 여동생에 대한 걱정, 연민, 도와주고 싶은 마음을 표현하고, 그러나 도와주지 못하는 자신 안의 나쁜 부분, 즉 미안한 마음을 표현하는 것이지요. 그게 바로 막내 여동생이 수철 오빠에게 듣고 싶은 말과 행동입니다. 도와주지도 않고 비난하는 대신에 말입니다. 사랑한다 그리고 미안하다는 말이지요.
글 한영혜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초빙교수
http://all100plan.com/2022-autumn-pi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