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생활습관병’ 잡아야 건강 튼튼 노후 든든
든든한 노후를 위해 가장 먼저 챙겨야 할 것은 건강이요, 그 첫걸음은 매일의 생활습관을 점검하는 것이다. 오늘 내가 무엇을 먹고 마셨는지, 하루 종일 얼마나 움직였는지, 술 담배는 얼마나 하는지 등이 나의 노후 건강을 결정짓는다. 이번 호에서는 고혈압, 요로결석, 폐암과 관련된 최신 의학정보를 소개한다.
최근 30대에서도 흔히 발병, 꾸준한 식이요법 도움돼
고혈압은 별다른 증상 없이 시작되기 때문에 초기에 소홀히 관리하면 뇌졸중, 심근경색 등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들어 30대에서도 흔하게 발병되면서 초기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고혈압은 일상에서 흔히 보는 질환 중 하나로 유병률은 연령에 따라 다르나, 전체적으로 20% 정도로 알려졌다. 고혈압은 뇌혈관질환・관상동맥질환・심부전・신부전 발생에 중요한 위험인자이며, 혈압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만으로 심혈관계 합병증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고혈압을 제때 치료하고 적정 수준으로 혈압을 유지하는 환자는 25∼30%에 불과하다. 일반적으로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고혈압이 있다고 무조건 약을 먹어야 한다거나, 평생 약을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만으로 고혈압을 예방하고 적정 수준으로 혈압조절이 가능하다.
고혈압 관리는 올바른 혈압 측정에서 시작된다. 고혈압 환자는 최소 하루에 한 번 혈압을 측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혈압은 하루 중 정해진 시간에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혈압을 올바르게 측정하려면 ▲혈압 측정 전 30분 동안 흡연이나 카페인 섭취를 금한다 ▲혈압 측정은 최소 5분 이상 휴식 후에 시행한다 ▲등을 기대고 앉아 팔을 걷어올리고 심장과 같은 높이로 유지한다 등 수칙을 지켜야 한다.
과도한 체중은 혈압 상승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과체중은 고혈압뿐만 아니라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10% 이상 과체중인 고혈압 환자에서 5kg 체중감량만으로 혈압 강하를 가져올 수 있다. 일주일에 4~5회 이상, 30~40분가량 빨리 걷기 정도의 중증도 운동만으로도 혈압을 떨어뜨리는 데 도움이 된다. 심부전이나 심근경색 등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엔 운동에 대해 의사와 상의하고, 전문적인 관리를 통해 운동량을 조절하는 것이 추천된다.
과도한 염분 섭취가 혈압을 상승시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한식은 염분이 많은 국물 음식(국, 찌개, 탕)이 많아서 주의가 필요하다. 채식을 주로 하는 사람은 육식을 주로 하는 사람보다 혈압이 낮으며, 채식 위주의 식단은 고혈압 환자의 혈압을 낮춰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일, 채소, 섬유소의 섭취를 늘리고 포화지방산의 섭취를 줄이면 혈압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식이요법을 꾸준히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음료 대신 물이나 과일 섭취하세요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국내 1인당 연평균 커피 소비량은 428잔으로 한 사람이 하루 한 잔 넘게 커피를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즐겨 마시는 커피와 탄산음료, 맥주가 요로결석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요로결석은 신장과 방광, 두 기관을 이어주는 좁은 요관이나 요로 등에 돌이 생겨 극심한 통증과 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 중 요관에 생기는 요관결석은 전체의 70%에 달할 정도로 가장 많으며, 옆구리와 허리를 찌르는 듯한 심한 통증이 특징이다. 경우에 따라 혈뇨와 구토, 복부팽만 등이 나타나기도 하며 증상이 심해지면 요로 감염, 신부전증 등 합병증까지 나타난다.
요로결석의 발병 원인은 식습관과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하지만 특히 더운 때는 ‘수분 섭취’와 연관성이 크다.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철,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지 않으면 소변량이 갑자기 줄어든다. 이에 따라 소변의 농도가 짙어지게 되고, 이때 소변으로 배출되지 못한 칼슘이 소변 내에 축적되면 결석이 생기기 쉽다.
갈증 해소를 위해 물 대신 탄산음료나 맥주를 자주 마시게 되는데, 탄산의 청량감을 내려고 첨가한 인산이 요로결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실제로 콜라 1캔(250g)에는 인이 38mg 들어 있다. 맥주 거품의 주성분 또한 탄산가스이기 때문에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체내에 결석이 더 잘 만들어진다.
요로결석을 예방하려면 맥주보다는 물을 마시고, 결석 형성을 억제하는 구연산이 풍부한 오렌지・자몽과 같이
신맛 나는 과일이나 주스를 마시는 것이 좋다.
흡연량 줄이면 폐암 발병 위험 45% 감소
흡연이 암을 비롯해 여러 질환의 요인이 된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졌다. 담배를 완전히 끊는 것이 어렵다면 하루에 피우는 담배 개비 수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이를 검증하기 위해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이기헌 교수팀이 흡연량 감소 및 흡연 습관 변화와 암 발생의 상관관계를 연구했다. 이번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2002~2003년과 2004~2005년에 총 2회 건강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남성 14만 3071명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연구에 따르면, 하루에 평균 10~19개비를 피우는 흡연자가 10개 미만으로 담배를 줄였을 때, 계속해서 20개비 이상의 흡연량을 유지하는 흡연자에 비해 폐암에 걸릴 위험성이 45% 감소했다. 흡연 관련 암에 걸릴 위험성은 26%, 모든 종류의 암에 걸릴 위험성 자체도 18%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흡연 관련 암이란 비인두암, 식도암, 위암, 대장암 등 다른 암에 비해 흡연의 영향을 더 직접적으로 받는 암을 뜻한다.
이기헌 교수는 “그동안 흡연량과 암 발생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서양인을 대상으로 진행돼 아시아 환자들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었다”며 “이번 연구는 국내 건강검진 대상자인 일반인을 대상으로 했으 며, 14만이 넘는 빅데이터로 높은 대표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크다”고 말했다.
글 이정윤·의학신문 기자(자료제공 전원생활)